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4페이지 내용 : 국악 KOREAN TRADITIONAL MUSIC 04⁄18 창단60주년 헤리티지 SMTO 60th Anniversary Concert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06⁄26 Re-프로젝트Reframing Project 세종문화회관M씨어터 07⁄25 실내악 시리즈-소리섬 Chamber Music Series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 08⁄29 수상음악 프로젝트-웨이브 WaveWater Music Project 세종문화회관M씨어터 11⁄21 믹스드 오케스트라-넥스트 레벨 Mixed Orchestra-Next Level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무용 DANCE 04⁄24-04⁄27 스피드Speed 세종문화회관S씨어터 08⁄21-08⁄24 일무One Dance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11⁄06-11⁄09 미메시스Mimesis 세종문화회관M씨어터 뮤지컬 MUSICAL 05⁄29-06⁄15 더 퍼스트 그레잇 쇼 The First Great Show 세종문화회관M씨어터 합창 CHORUS 04⁄16-04⁄17 합창, 피어나다Voices in Bloom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 06⁄13-06⁄14 가곡시대 The Time and Stage for Art Songs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 08⁄29 여름 가족 음악회 Summer Family Concert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10⁄30-10⁄31 낙엽 위에 흐르는 멜로디 Melody Over The Leaves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 12⁄04 헨델, 메시아 Messiah by G.F.Handel 롯데콘서트홀 오페라 OPERA 04⁄10-04⁄13 파우스트Faust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11⁄13-11⁄16 아이다Aida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12⁄13 오페라 갈라Opera Gala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연극 THEATRE 03⁄28-04⁄20 코믹Com!que 세종문화회관M씨어터 05⁄30-06⁄22 유령Ghost 세종문화회관S씨어터 09⁄05-09⁄28 퉁소소리Toongso Whistles 세종문화회관M씨어터 11⁄07-11⁄30 트랩Trap 세종문화회관S씨어터 발레 BALLET 03⁄14-03⁄23 데카당스Decadance 세종문화회관M씨어터 05⁄09-05⁄18 워킹 매드&블리스 Walking Mad&Bliss 세종문화회관M씨어터 08⁄22-08⁄27 더블 빌 유회웅×한스 판 마넨 Double Bill by Ryu Hoi-woong & Hans van Manen 세종문화회관M씨어터 10⁄30-11⁄02 더블 빌 한스 판 마넨×허용순 Double Bill by Hans van Manen & Hue Young-soon 세종문화회관M씨어터 기획공연/공동주최 OTHERS 05⁄02-05⁄04 동방미래특급 Post-Orientalist Express 세종문화회관M씨어터 05⁄16-05⁄18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 인 콘서트 Harry Potter and the Half-Blood PrinceTM in Concert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10⁄24-10⁄26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Part I 인 콘서트Harry Potter and the Deathly HollwsTM Part I in Concert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12⁄30 정명훈×KBS교향악단 베토벤9 Chung Myung-whun× KBS Symphony,Beethoven 9 세종문화회관대극장

페이지
책갈피 추가

5페이지 내용 : ‘제작극장’ 선언 4년 차를 맞이한 2025 년, 기관과 예술단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 이고자 한 세종문화회관의 노력이 결과 를 보여줄 전망이다. ‘새로운 예술을 선 도하는 제작극장’이라는 비전 아래 세계 수준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동시대 공연 예술을 이끄는 문화예술 기관으로 도약 하는 것. 이러한 배경에는 그간 국악관현 악·무용·합창·뮤지컬·연극·오페라 등 장르별 내공을 갖춘 예술단을 중심으로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콘텐츠 확보 에 꾸준히 힘써온 내력이 있다. 2025 시즌 세종문화회관은 총 29편 174회의 공연을 준비하고 있다. 이 중 서 울시예술단의 작품은 25편 162회로 전 체의86%를 차지하며 예술단 중심 기조 를 강조했다. 공연장 공간을 토대로 다 양한 기획을 선보이고 경험을 제공하는 것 역시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세종문화 회관에선 서울시예술단의 훌륭한 레퍼 토리를 연중 꾸준히 만날 수 있다는 점 을 내세운 것. 2022년 초연해 올해까지 매년 꾸준히 대극장 무대를 장식하고 있 는 서울시무용단 일무 나S씨어터에서 ‘오플레이’라는 새로운 장르로 초연해 올 해 대극장 버전으로 발전시킨 서울시오 페라단 파우스트 , 관객과 평단의 호평 에 힘입어 재공연을 결정한 서울시극단 트랩 과 퉁소소리 , 지난해 서로 다른 시기에 공연된 초연작 두 편을 모아 새로 운 더블 빌로 구성한 서울시발레단의 공 연이 그러하다. 한편,2022년 초연 이래 많은 관객에게 꾸준한 사랑받는 서울시 뮤지컬단 다시, 봄 은 지난해 LG아트 센터 서울에 이어 올해는 더 많은 관객을 만나고자 서울을 떠나 전국 곳곳으로 향 한다. 이처럼 이번 시즌에는 세종문화회 관 각 공연장에서 레퍼토리로 자리매김 한 서울시예술단의 작품 9편을 만날 수 있다. 레퍼토리를 통해 세종문화회관과 서울 시예술단만의 색을 만끽할 수 있다면, 현시대에 어울리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품은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신작을 만나 는 것 또한 새로운 즐거움이 될 것이다. 특히 2024년 창단하며 ‘컨템퍼러리 발 레’라는 화두를 전면에 제시한 서울시발 레단은 국내외 안무가들과 밀착 협력해 7편의 작품을 선보인다. 각 예술단이 우 리 시대와 긴밀하게 호흡하며 만들어내 는 예술적 성취에 더 많은 관객이 함께해 주시기를. 제작극장의 꽃, 프로듀서에게 듣는 시즌 라인업 object n repertory03

Sejong Center Magazine N16

탐 색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