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42페이지 내용 없음

페이지
책갈피 추가

43페이지 내용 : 오하드 나하린Ohad Naharin, b.1952은 현 대무용의 경계를 확장하고 움직임을 탐구하는 방식 자체를 혁신한 안무 가다. 그는1990년부터 바체바 댄스 컴퍼니Batsheva Dance Company를 이끌 며, 춤이 단순한 기교가 아니라 신체 를 통해 경험하는 철학적 과정임을 증명해왔다. 그의 대표작 데카당스 Decadance 2000는 그러한 철학을 집약 한 작품으로, 서울시발레단이 이번 시즌 첫 작품으로 선보인다. 가가, 몸의 경험을 다시 정의하다 나는 거울로 가득 찬 방에서 살았지 내가 볼 수 있었던 건 오직 나뿐이었어 그래서 내 영혼을 들고 거울을 부숴버렸지 이제 온 세상이 나를 위해 펼쳐졌어 지미 헨드릭스Jimi Hendrix의 노래 가 사처럼, 무용수들은 흔히 거울의 방 에서 자신의 몸을 조율하며 성장한 다. 끊임없이 자기를 대상화하고, 가 장 날카롭고 잔인한 비평가로 자신 을 바라보는 함정에 쉽게 빠진다. 오 하드 나하린은 무용 스튜디오에 거 울을 두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무 용수는 자신의 모습을 외부에서 관 찰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경험 해야 한다는 믿음 때문이다. 거울을 가리거나 부숴버려라. 춤을 출 때 거울을 사용하지 마라. 삶을 살 때도 거울을 사용하지 마라. 거울은 한계를 만든다. 그것은 환상일 뿐이다. ‘DanceInsider’,2006 나하린의 스튜디오에는 대신, 무용 가의 목소리가 공간을 가득 채운다. 네 몸을 액체처럼 흘려보내봐. 무게를 느끼되, 중력과 친구가 돼야 해. 무용가의 언어가 견인하는 것은 특 정한 동작이 아니라, 감각, 인식, 그 리고 경험이다. 또한, 흔히 ‘따라 하 기’라 부르는 강사의 시범보다는 언 어적인 이미지를 통해 무용수의 움 직임을 유도한다. 모든 움직임은 각 각의 신체 상태와 감각에 따라 다르 게 표현될 수 있기에, 무용수의 개별 적인 신체 경험을 존중한다. 이러한 방식은 단순히 새로운 움직임 트레 이닝이 아니라, 지각perception과 몸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는 철학적 개 념과 맞닿아 있다. 현대무용계에서 ‘가가Gaga movement language’ 테크닉으로 잘 알려진 이 움 직임 방식은 기존의 테크닉 훈련이 나 춤의 스타일을 넘어서 신체 자체 를 탐구하는 방법으로 확장됐다. ‘가 가’는 그가 허리를 다친 후, 대체적인 방식으로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을 탐구하며 개발했다. 나하린은 기존의 무용 훈련이 지나 치게 형식적이며, 개별 무용수의 신 체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봤 다. 그는 테크닉이 아니라 신체를 지 각의 중심으로 두고, 기존의 훈련에 서 배제된 ‘내재적 감각internal sensation’ 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발레나 현대 무용의 기존 훈련 방식은 신체의 외 형적 정확성을 중시한다. 다리의 각 도, 팔과 손끝의 위치, 균형과 중심축 등이 중요한 기준이 된다. 반면, 가가 는 신체가 어떻게 ‘느끼는지’에 집중 한다. 움직임을 만드는 데 필요한 것 은 특정한 기술이 아니라, 몸이 보내 는 신호를 읽는 능력이다. 나하린은 이를 ‘움직임의 본능’이라 고 표현한다. 인간은 본래 움직임 의 가능성을 무한히 내재하고 있지 만, 훈련 과정에서 오히려 이를 잊 게 된다는 것이다. 가가는 이러한 신 체 감각을 되살리는 과정이다. 무용 수들은 가가 트레이닝의 과정을 탐 구exploration, 실험experimentation, 발견 discovery, 연구research 네 가지 단어로 설명한다. choreographer41

Sejong Center Magazine N16

탐 색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