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48페이지 내용 : 렸는데도 집안이 전남이니까 전라 도 사투리에 대해서는 좀 빠삭한 편 이에요. 제가 고등학교 2학년이 될 때까지 우리 집이 하숙집을 한 것도 영향이 있는 것 같아요. 정말 많은 사 람을 만나면서 다양한 직종과 언어 를 알게 됐죠. 드라마 마당 깊은 집 1990 같은 분위기였는데…. 웃음 당 시에는 친구들보다 아저씨들하고 더 많이 놀았던 기억이 있어요. 그리고 카를 발렌틴 작품에 정치·사회적 풍 자가 많아요. 마지막 장의 ‘수족관’은 금붕어 키우기에 관한 이야기인데, 원작은 한 인물의 긴 독백이거든요. 이걸 배우 여덟 명이 나눠서 하는 것 으로 바꿨어요. 원작의 정서가 김민 기의 ‘작은 연못’과 닮아 있어서 ‘작은 연못’을 비트처럼 깔고 대사를 랩처 럼 구성했어요. 전작 스카팽 과 우리 읍내 에도 랩을 사용했죠. 그간 연출 한 작품에 음악이 다양한 방식 으로 사용되는데, 연극에서 음 악은 어떤 효과를 준다고 생각 하나요. 어떤 작품이든 관객의 마음을 여는 게 가장 중요해요. 코믹 에서도 프 롤로그 구성을 배치했어요. 배우와 관객이 눈을 마주치면서 서로 코드 도 교환하고 긴장도 풀어주고 노래 도 하면서 분위기를 만들어가요. 노 래 못해도 상관없어요. 즐겁게 들을 수 있으면 돼요. 사람들은 무언가가 언어로 표현되면 그 정보들을 머리 로 받아들이면서 이해하려고 노력해 요. 그런데 음악이 더해지면 일단 계 산하기를 포기해요. 흥겨우니까 마 음이 먼저 움직이기 시작하고요. 관 객의 마음을 여는 포인트로 음악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요. 이번 작품에 도 시작과 끝에 박세현의 시 ‘너무 괜 찮다’로 만든 노래를 부르고, 장면 전 환에 음악이 연주돼요. 관객의 즐거움이 무엇보다 중 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다양한 희극 작업을 하고 있는 데, 코미디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웃기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이에요. 우리는 광대가 실수할 때 웃잖아요. 그건 그 광대에게 자기 모습이 있기 때문이거든요. 모두가 자신이 광대 를 위에서 내려다보고 있다고 생각 하지만, 사실은 같은 위치에 있다는 모순에서도 웃음이 발생해요. 이런 웃음의 철학을 아주 잘 정리해놓은 게 앙리 베르그송Henri-Louis Bergson의 ‘웃음Le Rire’1900이에요. 일부를 프롤 로그에 차용했어요. 배우들에게 상 황이 웃기더라도 연기적으로는 그 감정을 푸시push하지 말자는 이야기 를 많이 해요. 관객이 금방 알아채거 든요. 비극은 힘이나 에너지로 밀어 붙일 수 있는 부분이 있어요. 반면에 희극은 그것만으로는 안 돼요. 모든 연기가 그렇지만, 특히 희극은 테크 닉이 굉장히 필요한 작업이에요. 희극 작업이 어려운 건 코미디 의 스펙트럼이 아주 넓고 섬세 하기 때문이라고도 생각하는 데요. 코믹 의 웃음은 어떤 방 향성을 지니고 있나요. 코믹 에 수록된 작품뿐 아니라 ‘변 두리 극장’ 작품 전체가 깔고 있는 게 ‘부조리’예요. 부조리도 상황, 계급, 공간 등등 스펙트럼이 넓어요. 우리 나라에서 공연되는 부조리극이 대 체로 무겁게 소개돼요. 아무래도 ‘부 조리’라는 단어 자체가 주는 이미지 의 영향도 있다고 봐요. 대표적으로 사뮈엘 베케트Samuel Beckett의 ‘고도 를 기다리며Waiting for Godot’가 그런 데, 이 작품은 두 광대를 위해 쓰였거 든요. ‘변두리 극장’을 읽으면서 웃음 은 일상에서부터 출발한다는 걸 다 시 생각하게 됐어요. 살면서 느끼는 부조리와 그 안의 웃음들. 요즘은 국 회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그렇게 느 껴져서 허구의 인물을 만드는 과정 에 좋은 레퍼런스가 되기도 해요. 연 기자들이 캐릭터를 찾기 힘들어하면 비슷한 역할의 누군가에서 가져와 보라고 해요. 누군가를 카피하는 데 서 시작하지만, 사람이 달라서 절대 똑같을 수 없거든요. 결국 자신의 색 이 묻어나오기 마련이에요. 병원이나 가게 같은 공간, 부부 와 친구 사이 등 익숙한 관계와 상황 속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많아 오히려 배우들이 인물에 접근하기가 쉬우리라고 추측 했는데요. 그렇지 않은 것 같아요. 일상의 것이 그대로 무대에 올라간다고 해서 그 게 연극이 되진 않으니까요. 제가 연 46ARCHIVE

페이지
책갈피 추가

49페이지 내용 : conversation47

Sejong Center Magazine N16

탐 색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