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페이지 내용 : 한스 판 마넨, ‘형식의 정전’을 비트는 구조의 조형가 그 대표작이 5 Tango’s 다. 아스토 르 피아졸라Astor Piazzolla의 음악에 감 정을 실어내기보다 정제된 신체 언 어로 리듬을 조율한다. 한스 판 마넨 특유의 구조주의적 안무 철학은, 감 정을 흘려보내기보다 감정을 담을 구조를 먼저 설계하는 태도로 구체 화된다. 이 작품에서 움직임은 선율 을 따라가지 않고, 오히려 신체의 선 과 리듬의 긴장을 세심히 조율하는 데 집중한다. 탱고라는 대중 오락을 고전 발레의 엄격한 문법 안으로 우 아하게 수용한 대표작이자 네덜란드 국립발레단 시절 김지영의 장기가 잘 드러난 작품이다. 전체적으로 표 현주의적 충동이 강한 미국 모던댄 스와 구별되는, 베네룩스의 간결함 과 건축적 사고가 결합됐다. 20세기 중후반 NDT는 판 마넨만 의 예술 도장에 머무르지 않았다. 1969년 NDT에 합류한 글렌 테틀 리Glen Tetley, 1926–2007는 마사 그레이 엄Martha Graham, 1894–1991 계열의 신 체성을 도입하며 형식주의와 표현 주의의 긴장을 구조화했다. NDT 는 판 마넨의 절제된 추상성과 테틀 리의 신체적 감정성이 교차하는 창 작 생태계를 형성하며, 단순한 양 식적 혼합을 넘는 내재율을 만들 었다. 1990년대 판 마넨은 그레이 엄식 표현주의와 대척점에서, 무 용수 간 거리 조율과 구도의 반복 을 통해 인간 사이의 침묵과 거리 의 리듬을 탐색하는 연작을 시도했 다. Compositie 1994, Kleines Requiem 1996, Kammerballett 1995는 이 시기의 ‘3부작’ 격이다. Kammerballett 에서 판 마넨은 몸과 몸 사이에 흐르는 미묘한 기류 와 내면의 결을 추상의 언어로 풀어 냈다. 움직임은 특정 감정을 재현하 지 않고, 군더더기 없는 제스처를 통 해 잔상을 남긴다. 존 케이지·도메 니코 스카를라티·카라 카라예프 등 결이 다른 음악을 병치하면서, 이질 적인 사운드를 하나의 무대 언어로 엮어낸다. 판 마넨이 추구한 기하학 적 조형미는 무용수에게 한 치의 흔 들림 없는, 고도의 정확성을 요한다. 그래서 같은 작품이지만 NDT와 네 덜란드 국립발레단 사이에 가혹한 동작을 수행하는 기량차가 현격하 다. 통시적으로 보면 전후 유럽 발레 의 탈서사 흐름에서 판 마넨이 희구 한 ‘추상의 극장화’ 전략이NDT에선 Kammerballett 로 실현됐다. 익숙한 형식의 내부를 슬며시 비틀 면서 발레라는 언어를 다시 써가는 판 마넨의 작품은 오늘날 당대성을 고민하는 무용 생태계에 분명한 대 안을 전한다. 2025년 서울시발레단 의 판 마넨 연작은 파괴가 아닌 갱신 을 택하는 점에서, 컨템퍼러리 발레 가 극단성이나 해체의 수사에 기대 지 않고도 얼마든지 당대의 감수성 을 환기할 수 있음을 일깨운다. 이르지 킬리안, 정서의 파동으로 형식을 채우다 1975년, 이르지 킬리안이 예술감독 으로 NDT에 합류하면서 무용단은 활력을 찾았다. 체코 출신의 킬리안 은 존 크랭코John Cranko, 1927–1973가 이 끈 슈투트가르트 발레에서 고전 테 크닉과 독일 표현주의를 흡수했다. 본인의 감독 재임 기간1975-1999 판 마 넨이 구축한 구조주의를 폐기하지 않았고, 그 골격 위에 ‘정서의 파동’을 입히는 방식으로 예술적 층위를 확 장했다. 감정의 진폭을 형식 안에 응 축해 서정성과 철학성을 견인하는 창작 방향이다. 킬리안 예술감독 체제의 혁신은 NDT를 연령 단위로 쪼갠 결정이다. NDT 1·2·3 세 개의 분화된 단위로 나눠 무용수의 연령과 경력, 감성을 기준으로 입체적 구조를 설계했다. 42ARCHIVE
45페이지 내용 : 한스 판 마넨 ©ErwinOla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