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60페이지 내용 : 국악관현악단으로 읽는 ‘아시아-사회학’ 글. 송현민 월간객석 편집장 음악평론가 2025년은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이 창단 60주년을 맞은 해다. 1965년 전통악기를 현대적으로 재편성한 ‘관현악’이라는 개념은, 전통음악이 작곡·연주·지휘라는 서양음악 시 스템 안으로 진입하는 과정의 결정 판이었다. 무엇보다 이 흐름은 결코 한국만의 현상이 아니었다. 한국과 중국·일 본·대만·싱가포르 등 아시아의 주 요 국가들은 모두20세기 후반, 비슷 한 시기에 자국의 전통악기를 중심 으로 한 관현악단을 창단했다. 이는 모두 식민지 근대기 이후 민족 정체 성 회복과 문화 자립이라는 목표 속 에서 기획된 것이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는 아시아 각국에 있어 치열한 근대화의 시기였다. 서양의 군사력 과 기술문명에 충격을 받은 이들 국 가는, 교육과 법률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 분야에도 ‘서구화’를 통한 근대 화를 시도했다. 그 결과 일본은 메이 지 유신 이후 서양음악 교육을 도입 했고, 한국과 중국도20세기 초 식민 지 또는 준準식민지 상태에서 유사한 흐름을 경험했다. 하지만 1945년 광복과 1950-60년 대 경제 재건의 시기가 지난 후, 자국 문화의 재발견과 자긍심 회복의 일 환으로 ‘전통음악의 현대화’가 각국 에서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이때 주 목받은 것이 바로 서양 오케스트라 의 편성과 구조를 빌려 자국 전통악 기로 관현악단을 구성하는 작업이었 다. 이러한 민족악기 오케스트라의 등장은 정치·사회적 맥락 위에서 문 화적 자립의 상징이 됐고, 동시에 세 계와의 음악적 대화를 위한 도구가 됐다. 58ARCHIVE

페이지
책갈피 추가

61페이지 내용 : 이러한 상황에서 전통악기의 가능성 을 현대적으로 확장하려는 의식 있 는 연주자와 작곡가들이 자발적으 로 모여 1964년 일본음악집단日本音 楽集団을 창단했다. 이듬해인1965년 창단 공연을 열었는데, 가가쿠雅楽나 노가쿠能楽 등 일본 전통음악에 기반 을 두면서도 전통 형식을 탈피한 작 품을 선보였다. 이들은 메이지 유신 1868-1912 시기에 서양 문물을 받아들 이면서 외친 화혼양재和魂洋才, 즉 ‘서 양’의 것을 수용하지만 ‘일본’ 고유의 정신에 입각한다는 정신을 음악적으 로 보여줬다. 1970년대에도 장기적 인 고도 경제성장기와 함께 성장한 도쿄예술대학 출신 엘리트 작곡가들 이 합류했고, 1980-90년대에는 국 제 순회공연을 갖기도 했다. 이처럼 1965년 창단한 서울시국악 관현악단의 역사 전후로 아시아 각 국은 전통악기로 구성된 서양식 관 현악단이 ‘정치’나 ‘경제’적 배경과 함 께 그 모습을 드러냈다. 중국의 중앙민족악단China National Traditional Orchestra은 중국을 대표하는 전통악기 오케스트라로, 1956년에 창단했다. 1950년대 중반은 중화인 민공화국 수립1949 후 전통문화의 현 대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해 인민과 민족문화에 기초한 사회주의 예술로 현대사를 새롭게 써나가고 있던 때 였다. 중앙민족악단은 이러한 시대 및 사회 흐름과 함께 변화했다. 전통문화가 파괴되던 1966-1976 년 문화대혁명 시기에 활동이 크게 위축됐지만, 역으로 정치 선전 목적 의 대형 합주곡을 자주 연주했다. 1980-90년대는 개혁개방 이후 자유 로운 공연과 해외 순회 활동을 활발 히 하며 변화하고 있는 중국을 음악 적으로 선전했다.2000년대 이후 중 국 정부가 ‘문화강국’을 표방함에 따 라 국제적인 순회공연이나 전통음악 을 활용한 창작곡 확대, 젊은 작곡가 와 지휘자 발굴에도 힘쓰고 있다. 중앙민족악단이 사회주의로 대변되 는 1950년대 중국의 정치적 격변기 와 함께 탄생했다면, 일본음악집단 은 1960년대 일본의 화려한 경제성 장기와 함께 탄생했다. 당시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빠 르게 경제 규모가 성장했는데, 이 시 기를 ‘고도 경제성장기’로 기록할 정 도다. 이때 문화예술의 폭넓고 고급 스런 대중화가 진행됐고, 서양음악 이나 풍부한 물적 환경에서 강행할 수 있는 실험적인 현대음악avant-garde 이 본격적으로 유입·유행했다. 이념 중국 을 따라, 경제 성장의 빛 일본 과 함께 commemoration59

파일 다운로드

탐 색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