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길찾기서비스 세종충무공이야기 꿈의숲아트센터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블로그 트위터

전시일정

공연일정 중 공연에 대한 정보 테이블로 기간, 장소, 시간 및 세부일정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간 장소 시간 및 세부일정
기간 2024.10.10(Thu) ~ 2024.10.21(Mon) 장소 세종미술관 1관 위치보러 가기 시간
11:00 ~ 19:00
(입장마감 18:30)
공연일정 중 공연에 대한 정보 테이블로 러닝타임, 관람연령, 티켓, 문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람연령 티켓 문의
관람연령 전 연령 관람 가능
티켓 무료 문의
아트스페이스 휴
031-949-0663
공지사항 전시기간 중 무휴
  • NOTICENOTICE 닫기

    공연일정 상세 중 NOTICE 정보를 제공합니다.
    입장 전 연령 입장 가능합니다. 미취학 어린이는 보호자 동반 입장 가능합니다.
    NOTICE 더보기
  • 전시소개 전시소개

    본 전시는 2022년 종근당 예술지상에 선정된 박시월, 오세경, 최수정 작가의 초대전입니다.

    '종근당 예술지상'은 국내의 주요 미술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바 있는 신진작가들에게 창작과 전시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도약의 기회를 마련하는 취지에서 2012년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정부 및 지자체, 민간의 비영리 대안공간 등에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해마다 수많은 신진작가들이 배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은 여전히 매우 부족한 형편입니다. 해마다 배출되는 많은 유망 신진작가 중에 정작 한국 미술계의 중심에 진입하는 작가는 손에 꼽을 정도로 드문 것은 이런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까닭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가능성을 인정받은 작가들이 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2차 지원 프로그램이며,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1. 박시월_조난_162.2×112.1cm_종이에 연필, 유리_2024


    2, 오세경_발악 Struggle_100×187cm_acrylic on korea paper_2024


    3. 최수정_refractionrelfection_cave A_105×150cm_acrylic and embroidery on canvas_2024

    전시소개 더보기
  • 시놉시스시놉시스 닫기

    2024 제11회 종근당 예술지상

     

    박시월 Park Siwol

    오세경 Oh Sekyung

    최수정 Choi Soojung


    2024. 10. 10(thu) - 2024. 10. 21(mon)


    주최 (재)세종문화회관 (사)한국메세나협회

    주관 아트스페이스 휴

    후원 종근당

     

    ▫전시연계 프로그램

    2024 종근당예술지상 콜로키움 : 회화의 자리

    일시 : 2024년 10월 12일(토) 오후 2시-오후 4시

    장소 : 세종문화회관 세종미술관 1관 오픈 갤러리


    www.ckd-yesuljisang.org

    시놉시스 더보기
  • 아티스트 소개아티스트 소개 닫기

    박시월(1993)의 작업은 아름다움이라는 비가시적인 형상을 붙잡으려는 시도로부터 시작된다. 보이지 않지만 분명 존재하는 아름다움의 정체를 더듬기 위해 작가는 타인의 아름다움을 상상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상이 회화로 옮겨지는 과정에 필연적으로 유리를 사용한다. 유리라는 소재는 박시월 작가가 붙잡고자하는 아름다움의 양면성을 효과적으로 증명해내기 때문이다. 작가는 경희대 회화과와 동대학원 회화 전공을 수료하고 2020년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 기획전으로 작가로서 데뷔했다. 이후 북구예술창작소와 춘천예술촌 입주 작가로 활동하며 소금나루 작은미술관, 서울대미술관 기획전에 참여하였으며 2023년 유영공간에서 개인전 <본적도 없으면서>을 가졌다.


     


     

     

    오세경(1985)은 일상의 사소한 순간의 틈에서 발생하는 아이러니한 장면들을 포착하여 사회적 문제나 이슈로 연결한다. 일상적인 장면을 극적으로 보이기 위해 작가는 실제로 배경을 만들고 모델의 연기를 더하여 연극 무대처럼 특정한 상황을 먼저 연출한 다음 이를 회화로 옮기는 과정을 거친다. 이에 불이나 빛과 같은 작가 특유의 회화적 장치가 더해지면서 불안과 긴장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낸다. 작가는 세종대 회화과와 동대학원 동양화과를 졸업하고 아트스페이스 휴, 프로젝트 경성방직, 겸재 정선 미술관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OCI 1211, 양주 777레지던스, 예술소통공간 곳의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최수정(1977)은 물리적 표면과 감각 사이의 심리적 거리를 가늠하며 캔버스라는 전통적 회화의 조건과 그것을 넘어서기 위한 방식을 실험한다. 회화와 설치, 오브제 등을 결합한 새로운 형식의 회화 작업을 통해 회화의 전통적인 가치와 역할, 방식 등에 도전하며 수많은 의미층을 회화의 표면에 직조(織造)해 나간다. 작가는 홍익대 회화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 서양화과와 글래스고 예술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노르웨이 트론헤임의 LKV(Lademoen Kunstnerverksteder)과 난지창작스튜디오, 고양창작스튜디오, 캔파운데이션 명륜동 작업실 등의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아마도예술공간, 통의동 보안여관, 뮤지엄 헤드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아티스트 소개 더보기
  • 세종로 공영주차장 안내
    세종문화회관은 자체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유료), 체험(유료 전시의 체험) 이용 관객은 세종로 공영주차장 이용 시 주차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차 전 무인정산기에서 사전 정산을 완료하시면 출차 시 혼잡을 피할 수 있습니다. 기타 할인 적용은 관련 증서를 지참하여 유인 정산 또는 무인정산기 내 호출버튼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세종로 공영주차장은 공간이 협소하여 상시 만차로 주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특히, 주말·공휴일은 빠르게 만차가 되오니 대중교통을 적극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전화 02-2290-6566 (24시간 영업, 연중무휴)
  • 취소방법
    인터넷 확인방법
    세종문화회관 홈페이지 → 마이페이지 → 예매 내역 확인/취소
    홈페이지 로그인 후 마이페이지 - 예매내역 확인/취소에서 취소공연을 선택 후 취소하시면 됩니다.
    전화문의
    세종문화회관 콜센터 02-399-1000로 문의주세요.
    운영시간 09:00 ~ 20:00

    ※ 전시 기간 이후에는 예매권 환불이 불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시 정보란 내 문의 번호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이미지 크게보기

제11회 종근당예술지상 이미지
닫기

누구나 클래식 신청 완료

누구나 클래식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 당첨 확인 시 필요하오니 접수번호를 꼭 기억해 주세요.

닫기

사전관람신청

공연 정보

  • 제11회 종근당예술지상
  • 장르
  • 기간 2024.10.10(Thu) ~ 2024.10.21(Mon)
  • 장소 세종미술관 1관
  • 연령전 연령 관람 가능

신청서 작성

표시된 항목은 필수 입력 사항 입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