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일정
서울, 한강을 걷다
기간 | 장소 | 시간 및 세부일정 |
---|---|---|
기간 2021.10.06(Wed) ~ 2021.10.19(Tue) | 장소 세종미술관 2관 위치보러 가기 |
시간
오전 10시 30분 ~ 7시 30분 / 입장 마감: 오후 7시
|
관람연령 | 티켓 | 문의 |
---|---|---|
관람연령 연령제한 없음 | 티켓 무료 관람 | 문의 최유진 032 323 9240 |
-
전시소개 전시소개
이현권 작가의 사진전『서울, 한강을 걷다 10년(2010~2020)』
이현권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다. 그의 전공과 직업은 우리가 가장 안전하게 내면에 감추어 두었던 것, 오랜 세월 동안 억압된 것들을 직시하고 받아들여 자기 자신에 대한 불편한 진실을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에게 직업은 어쩔 수 없이 타인과 자신 자신을 분석적으로 관찰하게 하여 체험을 통한 탐구와 수많은 직·간접 실험을 가능하게 한다. 그는 특별히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에 관한 정신분석을 통해서 자신과 세상을 바라보며 그중 일부분은 사진 언어를 통해 표현한다. 시작부터 예술에 대한 접근 방식이 기존의 예술가와는 다름을 짐작할 수 있다.
이현권은 서울을 관통하는 '한강'에 자신의 모든 감각을 채집하여 개인의 역사를 '한강'에 투영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다. 작가는 지난 10여 년의 한강 작업을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한다. 2010년~2013년은 그가 정신분석을 시작한 전후의 시기로서 기존 사진의 틀에 자신의 감각과 감정의 에너지를 표현하고 있다. 2014년~2017년은 정신분석의 과정에서 기하학적 문법으로 자신의 감각과 감정을 한강에 투영시키는 시기였고 이때부터 2020년 현재까지는 자신의 시각언어를 더욱 확고히 다지기 위한 실험을 하고 있다. 즉, 새로운 사진적 구도와 물질의 형태를 해체하는 등의 뚜렷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는 작가 작업의 역사에 있어 눈에 띄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전시에 앞서 발행한 사진집에 모두 수록했다. 미학적 관점으로 이현권의 작품세계를 분석한 미술평론가 홍경한의 평론을 비롯해 한강을 역사적 관점으로 해석한 임기환 교수의 글, 그리고 사진 작품 감상의 깊이를 더하는 윤세영 사진예술 편집주간의 에필로그가 수록되어 작가의 작품세계를 더욱 폭넓고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현권의 ‘서울, 한강을 걷다’展을 관람하는 모든 분이 전시 공간을 산책하며 시선을 사로잡는 작품에 잠시라도 멈추어 쉬어갈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사진전 세부사항1) 참여 작가: 이현권 (HyunKwon Lee)2) 전시 제목: 서울, 한강을 걷다 10년 (2010~2020)3) 전시 장소: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2관4) 전시 일시: 2021년 10월 06일(수) ~ 2021년 10월 19일(화) 12시까지5) 관람 시간: 오전 10시 30분 ~ 19시 30분 / 입장 마감: 오후 19시6) 출품 작품 수: 32점의 사진과 영상이 전시되어 있습니다.사진집1) 제목: 『서울, 한강을 걷다』 Walking Along the Han River2) 구성: 사진집-국‧영문 텍스트, 사진작픔 104점제본-양장페이지-내지 248 페이지규격-세로 25.5cm. 가로 30.5cm발행-마리앤미카엘(Mari n Michael)출판-한스그라픽출판일-2021년 1월 1일, 초판 1쇄비평 발췌그에게 사진은 자신의 내적 상황을 투사한 결과물이며, 찍 는다는 행위는 자연의 외피를 묘사하는 것이 아닌 경험과 선험성의 합일이다. 자연을 능가하는 인간의 우월성을 배척 한 겸손함이며, 자유를 향한 몸부림, 나와 분리된 타자적 삶 을 지근거리에 위치한 공간에서 스스로 치유하기 위한 무대 라고 볼 수 있다. _ 홍경한 미술평론가겸재 정선의 <경교명승첩>의 한강 산수는 이제 ‘역사’ 가 되었다. 다시는 회복되지 않는 그래서 기억조차 스 러진 그런 역사이다. 그래서 이현권의 ‘서울 한강’은 새 로운 기억을 만드는 공간이 된다. _ 임기환 서울 교육대학교 교수, 역사학자
-
세종로 공영주차장 안내
- 세종문화회관은 자체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
공연, 전시(유료), 체험(유료 전시의 체험) 이용 관객은 세종로 공영주차장 이용 시 주차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차 전 무인정산기에서 사전 정산을 완료하시면 출차 시 혼잡을 피할 수 있습니다. 기타 할인 적용은 관련 증서를 지참하여 유인 정산 또는 무인정산기 내 호출버튼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세종로 공영주차장은 공간이 협소하여 상시 만차로 주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특히, 주말·공휴일은 빠르게 만차가 되오니 대중교통을 적극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문의전화 02-2290-6566 (24시간 영업, 연중무휴)
-
취소방법
- 인터넷 확인방법
-
세종문화회관 홈페이지 → 마이페이지 → 예매 내역 확인/취소
홈페이지 로그인 후 마이페이지 - 예매내역 확인/취소에서 취소공연을 선택 후 취소하시면 됩니다. - 전화문의
-
세종문화회관 콜센터 02-399-1000로 문의주세요.
운영시간 09:00 ~ 20:00 -
※ 전시 기간 이후에는 예매권 환불이 불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시 정보란 내 문의 번호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