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세나뉴스레터
-
뉴스레터
Sejong Center Mecenat Letter
세종문화회관에서 발행하는 메세나 레터입니다.
협력을 통해 예술의 가치를 확장하고 브랜드를 강화하는 일.
세종문화회관과 함께 시작해보세요.-
세종문화회관 메세나 레터 Vol.17새로운 예술을 선다하는 제작극장, 세종문화회관 '2025 세종시즌'
세종문화회관은 지난 1월 21일(화) 노들섬 서울시발레단 연습실에서 60여 명의 기자가 참석하여 2025 세종시즌 ‘새로운 예술을 선도하는 제작극장’ 비전을 발표하며, 동시대 공연예술을 이끄는 세계 수준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문화예술 기관으로 역할을 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세종문화회관은 2022년 새로운 운영 전략을 발표한 이후, 국악관현악, 무용, 합창, 뮤지컬, 연극,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의 전문 예술단체를 중심으로 고유의 정체성을 갖춘 콘텐츠 확보에 힘써왔습니다.
-
세종문화회관 메세나 레터 Vol.16기업과 상생하고 사람과 호흡하는 세종문화회관 ESG파트너십
세종문화회관은 재원조성 과정에서의 재정건전성 확보와 민관협력 확대를 위해 2014년부터 문화재원팀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 광화문광장 재개장과 함께 시민 참여와 다양한 후원·협찬 확대와 ESG 실천을 위해 기업과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가는 추세입니다.
-
세종문화회관 메세나 레터 Vol.15누구나 꿈나무오케스트라의 뜨거운 여름캠프
‘누구나 꿈나무오케스트라’는 문화 사각지대에 놓인 문화소외계층 아동, 청소년들의 꿈과 희망을 지원하기 위해 2010년에 창단한 오케스트라입니다. 문화예술 교육의 기회가 적은 아동, 청소년들에게 악기무상지원과 함께 정기적인 오케스트라 교육을 펼치고, 1년간의 연습 후에는 세종문화회관의 무대 위에서 음악회를 열어주어 자신들의 꿈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함께 찾아갈 수 있도록 여정을 함께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공연을 준비하는 1년여 연습 과정 중 가장 소중하면서도 밀도있는 연습은 뭐니뭐니해도 여름방학 기간을 이용한 2박 3일간의 여름음악캠프입니다. 올해도 변함없이 단원들과 강사님들이 함께 소중한 기회를 마련하여 여름캠프를 다녀왔습니다. 이번 캠프에는 어떤 이야기와 함께하는 손길이 있었는지 살펴볼까요?
-
세종문화회관 메세나 레터 Vol.14관객과 시민이 체험하는 야외전시, 불가리스 세계명화전
봄이 오면 움츠렸던 땅에서 새싹이 돋아나고 나무는 푸름을 피웁니다. 사람들은 봄기운을 느끼며 나들이를 갑니다. 세종문화회관은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야외에서 가족, 친구들과 함께 만끽하는 다양한 볼거리로 관객과 시민들에게 다가갔습니다.
남양유업이 세종문화회관과 함께 불가리스와 와다다곰이 만나 〈불가리스 세계명화전〉을 개최했습니다. 세계명화를 통해 어떤 재미와 볼거리를 선보였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
세종문화회관 메세나 레터 Vol.13모든 누구나 새로운 극장 경험을 하는 2024 세종시즌
세종문화회관에서 지난 1월 9일(화) 사업발표회에 60여명의 기자가 참석하여 ‘2024 세종시즌’을 중심으로 컨템퍼러리시즌 ‘싱크 넥스트(Sync Next) 24’, 문화동행프로젝트 ‘모든누구나’, 전시, 교육프로그램 등 20 24년 세종문화회관의 사업 청사진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를 통해 세종문화회관은 단순히 공연을 감상 하는 공간을 넘어 시민의 삶 속에서 함께하는 ‘세종 라이프’, ‘세종 스타일’의 새로운 극장 경험을 제안했습 니다. 2024년 ‘제작극장 세종’의 새로운 극장 경험을 위해 어떤 도전과 혁신이 있을지 이야기를 들어보실 까요?
-
세종문화회관 메세나 레터 Vol.12트리로 다시 태어난 화장품 공병
아름다움은 인간 누구에게나 주어졌지만 그것을 나타내고 돋보이게 하는 것은 인간 고유의 숙제입니다. 우리는 일상에서 아름다움을 위해 외적으로는 화장품으로 꾸미고 내적으로는 문화예술을 향유합니다. 그러나 아름다움을 위해 사용한 화장품 공병과 문화예술의 도구들은 어디에 버려질지 모르고 그냥 지나쳐 흘러왔습니다. 그렇게 잊혔던 화장품 공병들이 올해 연말 멋진 송년 조형물 작품이자 크리스마스트리로 만들어져 우리에게 돌아왔습니다. 이번 세종문화회관 메세나레터는 아모레퍼시픽재단 이소연매니저님과 크리에이티브 컴퓨팅 그룹 성백신, 김주섭 작가님 인터뷰를 통해 문화예술 파트너십을 소개하는 시간을 갖습니다.트리로 다시 태어난 화장품 공병의 특별한 이야기, 끝까지 읽어주세요!
-
세종문화회관 메세나 레터 Vol.11세종문화회관 2023 파트너십 이야기
2022년 8월 6일 광화문 광장 개장에 이어 9월 3일 입국 전 코로나 검사 폐지, 2023년 2월 7일 세종문화 회관 1층 시민 편의성 확대를 위한 세종라운지 오픈, 10월 15일 광화문 월대 복원으로 광화문 일대가 활 성화 되었습니다. 세종문화회관은 공연과 전시 각종 문화행사를 야외공간으로 확대하고 인근 회사원들과 가족 단위 시민들이 찾는 장소로 각광받고 있으며 외국인 관광객들도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어 각종 축제나 공연, 문화행사들이 즐비하게 개최되어 광화문광장 일대를 찾는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세종문화회관은 혼자가 아닌 좋은 파트너들과 함께 만들어 가는 광장문화, 그리고 시민들과 함께 어우러 지는 문화예술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2023 우리와 함께 만들어 간 파트너의 이야기를 들어보 실까요?
-
세종문화회관 메세나 레터 Vol.10광화문에는 특별한 전시가 있다? 세종문화회관 자동차 전시의 역사
세종문화회관 넓은 중앙계단을 올라오면 옛 한옥의 앞마당 같은 뜨락이 있습니다.이곳에서 2009년 한 기업과 파트너십은 지금까지 이어져 시민과 기업들에게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데요. 세종문화회관 45년 역사에 야외공간에서 가장 오랫동안 전시한 행사로 손꼽힙니다. ‘혁신은 원동력은 예술이다!’ 며 앞 다투어 세종문화회관에서 함께한 기업들이 있는데요. 기업들이 전시와 야외공간이 만나 어떤 계기로 특별한 상생의 기회를 만들어갔는지 소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