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국악관현악단


-
한국의 혼이 담긴 선율:
전통과 현대를 잇고 미래로 흐르다!-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은 1965년 국악관현악의 현대화‧대중화‧세계화를 목표로 창단된 대한민국 최초의 국악관현악단입니다. 전통음악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창작곡을 선보이며 한국 음악계의 발전을 이끌어 왔습니다.
매년 다채로운 관현악곡과 협주곡을 연주하며,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와 협업해 대중성과 동시대성을 겸비한 무대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음악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국악관현악의 정체성을 지켜 나가고 있습니다.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은 과거, 현재, 미래를 잇는 가교로서 동시대 관객들과 공명하며, 우리의 역사와 삶 속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질문을 던지며 답을 찾아갑니다. - 서울시국악관현악단 T.02-399-1761 / 인스타그램 @sejongcenter_smto
-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은 1965년 국악관현악의 현대화‧대중화‧세계화를 목표로 창단된 대한민국 최초의 국악관현악단입니다. 전통음악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창작곡을 선보이며 한국 음악계의 발전을 이끌어 왔습니다.
-
공연 정보
-
- 창단 60주년 헤리티지
- 2025.04.18 (Fri) ~ 2025.04.18 (Fri)
- 세종대극장 국악
-
- Re-프로젝트 장단의 재발견
- 2025.06.26 (Thu) ~ 2025.06.26 (Thu)
- 세종M씨어터 국악
-
- 실내악 시리즈 〈소리섬〉
- 2025.07.25 (Fri) ~ 2025.07.25 (Fri)
- 세종체임버홀 국악
-
- 수상음악 프로젝트 〈웨이브〉
- 2025.08.29 (Fri) ~ 2025.08.29 (Fri)
- 세종M씨어터 국악
-
- 믹스드 오케스트라 〈넥스트 레벨〉
- 2025.11.21 (Fri) ~ 2025.11.21 (Fri)
- 세종대극장 국악
-
-
영상
이승훤
- 주요 경력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및 동대학원 졸업(국악기악)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원 석사과정 수석졸업(국악지휘)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원 국악지휘 박사과정 수료
- 국립국악관현악단 부지휘자 역임
- 대전시립연정국악단 예술감독 겸 지휘자 역임
-
역대 단장역대 단장 열기
-
김성국
16대 (2022년 ~ 2024년)
-
박호성
15대 (2019년 ~ 2021년)
-
김철호
14대 (2016년 ~ 2018년)
-
황준연
13대 (2013년 ~ 2016년)
-
김정수
12대 (2011년 ~ 2013년)
-
임평용
11대 (2009년 ~ 2011년)
-
박상진
10대 (2006년 ~ 2008년)
-
김성진
9대 (2001년 ~ 2006년)
-
이상규
8대 (1999년 ~ 2001년)
-
김영동
7대 (1993년 ~ 1999년)
-
김용만
6대 (1988년 ~ 1992년)
-
김용진
5대 (1976년 ~ 1988년)
-
한만영
4대 (1974년 ~ 1975년)
-
김희조
3대 (1968년 ~ 1974년)
-
지영희
2대 (1966년 ~ 1968년)
-
유기룡
1대 (1965년 ~ 1966년)
-

김성국
- 주요 경력
- 현,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수석객원지휘자 (2024~)
- 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전통예술학부 교수
-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 (2022-2024)
- 2016 국립국악관현악단 상주작곡가
- 제32회 대한민국작곡상 수상
- 주요 작품
- 국악관현악 ‘공무도하가’, ‘춤추는 바다’
- 거문고 협주곡 ‘침묵’
- 바이올린 협주곡 ‘이별가’
- 사물놀이 협주곡 ‘사기(四氣)’
- 일렉트릭 기타 협주곡 ‘능게’ 외 다수

최수열
- 주요 경력
- 현,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수석객원지휘자
- 현,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관현악과 교수
- 현,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 수석객원지휘자
- 부산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 (2017-2023)
- 서울시립교향악단 부지휘자 (2014-2017)

김현섭
- 주요 경력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사·전문사 졸업
- 고려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박사과정 재학
- 서울특별시장표창 문화발전부분
- 제42회 대한민국작곡상 일반부 독주·독창부문 입상
- 제1회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국제작곡 콩쿠르 3위
- 제35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일반부 작곡부문 금상
- 제29회 동아콩쿠르 일반부 작곡부문 금상
- 주요 작품
- 국악관현악과 향비파를 위한 ‘천장고임, 학을 탄 선인’
- 거문고 협주곡 ‘그 안의 불꽃’
- 국악관현악과 무용을 위한 ‘몽유(夢喩)’ 외 다수

이고은
- 주요 경력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사·전문사 졸업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음악과 박사과정 재학
- 제31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작곡부문 금상
- 작곡발표회 <장단LAB>, <아쟁LAB>, <그림 담은 노래 1, 2>, <맞닿음>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오작교 프로젝트> 상주작곡가 선정
- 주요 작품
- 무당의 춤
- 국악관현악과 아쟁을 위한 ‘신맞이굿’
- 동해안 장구를 위한 협주곡 : 대미 외 다수

이하느리
- 주요 경력
- 예원학교 졸업,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수료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재학
- 버르토크 국제 콩쿠르 1위
- 제50회 중앙음악콩쿠르 최연소 1위
- 앙상블 더 브릿지 공모전 당선, 창악회 콩쿠르 우수상 등 수상
- 제16회 홍진기 창조인상 수상
- 국제 디베르티멘토 앙상블 아카데미(IDEA), 대구국제현대음악제 등 참가
- 디베르티멘토 앙상블, 앙상블 플렉스, 프로젝트 앙상블 오, 미하일 부진, 요제프 벌로크, 임윤찬 등 국내외 연주자 및 앙상블에 의해 작품 연주
- KAFA(한국영화아카데미)와 협업하여 영화음악 작업 참여 등 창작 영역 확장 중
-
부지휘자
-
상주작곡가
-
악장
-
가야금
-
거문고
-
정하은
거문고
-
대금
-
해금
-
피리
-
권도윤
피리
-
황다능
피리
-
아쟁
-
김수진
아쟁
-
타악